본문 바로가기
issue多세상事

소련 우주선, 지구로 추락

by 항래안방 2025. 5. 10.
728x90

유럽의 금성 탐사선 비너스 익스프레스 상상도

 

 

 

소련 우주선, 지구로 추락... 파편 일부는 인구 밀집 지역 근처 낙하

 

2025년 5월 10일 

현지 시간 10일 오전, 러시아 우주국(로스코스모스)은 구소련 시절에 발사된 무인 우주선 하나가 지구 대기권에 재진입하며 일부 잔해가 지상에 추락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해당 우주선은 1980년대 말 정찰 및 통신 임무를 위해 발사된 것으로, 수십 년간 궤도상에 떠 있다가 궤도 이탈로 인해 지구로 낙하한 것으로 알려졌다.

 

우주선의 본체는 대부분 대기권 진입 시 소실되었으나, 일부 파편은 남극 인근 해역과 남태평양 지역, 그리고 예상보다 북쪽으로 치우친 인도양 인근까지 흩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인도네시아와 호주 일부 해안 지역에 파편이 낙하했을 가능성이 있어, 해당 국가 정부는 위험물 탐지 및 회수 작전을 진행 중이다.

 

러시아 당국은 “이번 우주선 낙하는 계획된 궤도 감속 과정이 아닌, 장기적인 노후화와 제어 시스템 고장으로 인해 발생한 비정상적 재진입”이라며, “방사능 위험은 극히 낮고, 인명 피해는 보고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해당 우주선이 냉전 시절 군사 목적의 위성일 가능성이 높다며, 그 안에 탑재된 장비의 정체와 파편의 실제 위험성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국제우주기구(UNOOSA)는 즉각적인 조사에 착수했으며, 인근 국가들과의 정보 공유를 통해 낙하 경로 및 파편 분석을 진행 중이다.

 

이번 사건은 최근 인공위성과 우주 쓰레기의 통제 문제에 대한 국제사회의 우려를 다시 한번 부각시켰다. 전문가들은 “지구 궤도 상에 쌓이는 우주 잔해가 향후 더 많은 추락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며, 국제적 차원의 규제와 협력이 시급하다고 경고하고 있다.

2025년 5월 10일 오전, 구(舊)소련 시절에 발사된 무인 우주선 하나가 지구 대기권에 재진입하며 추락했다. 러시아 우주국(로스코스모스)은 이번 사건이 “통제 불능 상태에서의 자연 낙하”라고 발표하며, 인명 피해는 보고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해당 우주선은 1980년대 말 냉전기의 정찰 및 통신 임무를 위해 궤도에 올려졌으며, 이후 장기간 사용되지 않은 채 지구 저궤도를 선회해왔다. 오랜 시간 외부 충격과 내부 노후화가 누적되면서 자세 제어 기능이 상실되었고, 결국 지난주 궤도 진입 각도가 변경되며 자연 낙하가 시작됐다. 로스코스모스는 사전 예고 없이 이 사실을 공개해 국제사회의 우려를 불러일으켰다.

대부분의 구조물은 대기권 진입 중 고열로 소실되었지만, 일부 파편은 인도양 인근 해역으로 떨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낙하 예상 범위에는 인도네시아 일부 해역과 호주 북부 해안도 포함돼 있어, 주변국들은 잔해 탐색과 분석을 위한 긴급 대응에 나섰다. 호주 정부는 현재까지 방사능 등 유해 물질은 탐지되지 않았으며, 추가 위험 요소는 없는 것으로 파악된다고 밝혔다.

 

이번 사건은 우주 쓰레기 문제의 심각성을 다시 한번 드러낸 사례로 평가된다. 전문가들은 “노후 인공위성과 유휴 위성체가 향후 제어 불능 상태로 지구에 추락할 위험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며, “우주 개발의 책임을 각국이 함께 나눠야 한다”고 지적했다. 유엔 우주국(UNOOSA) 역시 공식 성명을 통해 “러시아 측의 정보 공유 부족은 국제 규범 위반의 소지가 있다”며 공동 조사를 요구했다.

현재 러시아 측은 사고 우주선이 군사용 목적의 정찰 위성이라는 의혹에 대해선 함구하고 있다. 다만 민간 위성 추적 단체들은 이 우주선이 과거 핵 동력 시스템을 실험하던 ‘코스모스’ 계열일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이는 1978년 캐나다 북부에 추락한 소련 핵추진 위성 ‘코스모스 954’의 사고를 떠올리게 해, 해당 파편의 구성 성분에 대한 국제적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번 추락은 인공위성 재진입 경고 시스템의 부재국가 간 소통 부족의 위험성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전문가들은 “지구 궤도는 이미 포화 상태에 다다르고 있다”며, “더 늦기 전에 우주 쓰레기 처리와 궤도 정리 문제에 대한 국제 협약이 체결돼야 한다”고 강조한다.

728x90